Old 71

12_INDEX

인덱스- DB 분야에 있어서 테이블에 대한 동작 속도를 높여주는 자료구조를 일컫는다. 인덱스의 장점- 검색 속도가 빨라진다. 인덱스의 종류1. B-TREE 인덱스(UNIQUE INDEX, NON-UNIQUE INDEX, COMPOSITE INDEX)- 실시간으로 데이터 입력과 수정이 일어나는 환경에서 많이 사용2. BITMAP INDEX- 데이터 값의 종류가 적고 동일한 데이터가 많을 때 사용 자동생성- 인덱스는 테이블 정의시 PK와 UNIQUE KEY 제약 조건을 정의할때 자동으로 생성된다. 수동생성- 사용자는 인덱스를 수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. 1. BITMAP INDEX- 데이터 값이 적고 동일한 데이터가 많을 경우에 사용된다.- BIT연산 수행가능- 수정/변경/추가 가 적은 데이터에 적합=> 컬럼..

Old/Oracle 2018.11.02

11_JOIN

JOIN :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검색할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서로 연관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두 개의 테이블이 마치 하나의 테이블인 것 처럼 보여주는 것. JOIN의 종류 내부조인(INNER JOIN)- 여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가장 흔한 결합 방식으로, 기본조인 형식으로 간주된다. 조인구문을 충족하는 열끼리 결합하여 보여주는 방식- 내부조인은 세부적으로 동일조인(EQUI JOIN), 자연조인(NATURAL JOIN), 교차조인(CROSS JOIN)으로 나눌 수 있다. 외부조인(OUTER JOIN)- 내부조인은 생성하려는 두 개의 테이블의 각 각의 컬럼에서 공통된 값이 없다면 테이블로부터 데이터를 반환하지 못하지만 OUTTER JOIN은 공통된 값이 없는 데이터..

Old/Oracle 2018.10.31

10_SubQuery

SubQuery : 쿼리문 안에 쿼리문이 들어가 있는 쿼리문을 말한다. 서브쿼리의 종류- 서브쿼리가 어느 절에 작성되느냐에 따라서 나뉘어 진다 1.) 스칼라 서브쿼리 : SLECT절에 작성됨 2.)인라인 뷰 서브쿼리 : FROM절에 작성됨 3.)기타 : WHERE절에 작성됨 예를 들어 emp테이블에서 deptname = sales인 사람의 ename, job, hiredate를 구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?(emp테이블과 dept테이블은 공통으로 deptno를 갖고 있음) 우선 sales를 가진 사람의 deptno를 구할 필요가 있다 dept테이블에서 deptname = 'sales' 인 deptno를 찾는 쿼리문 deptno = 1을 얻음 얻은 deptno를 가지고 emp테이블에서 deptno=1인 ..

Old/Oracle 2018.10.31

09_CONSTRAINT

CONSTRAINT : 제약조건 1) NOT NULL : 해당열에 널 값이 없도록 하기위한 제약조건2) UNIQUE : 지정된 열에 대해 널값은 허용이나 중복값은 허용하지 않는 제약조건 3) PRIMARY KEY : 테이블의 각 행을 식별하기 위한 제약조건, 테이블당 하나의 기본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기본키는 중복값과 널값을 갖을 수 없다.4) FOREIGN KEY : 동일한 테이블 또는 다른 테이블에서 기본키 또는 고유키를 참조하는 제약조건, 부모 테이블의 값과 일치하거나 널값을 가져야한다.4.1) ON DELETE CASCADE : 부모 테이블의 행이 삭제되는 경우 자식 테이블의 종속행을 삭제하는 옵션4.2) ON DELETE SET NULL : 부모 테이블의 행이 삭제되는 경우 종속 외래키 값을 널..

Old/Oracle 2018.10.30

08_COMMIT

1. COMMIT- 모든 작업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겠다고 확정하는 명령어- 변경된 내용을 모두 영구 저장한다.- 모든 사용자가 변경한 데이터의 결과를 볼 수 있다.(특정 쿼리문을 실행시키고 COMMIT을 수행하지 않으면 DB내부에서는 처리한 결과값이 보이지면 외부에서는 처리하기 이전의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다.) 2. ROLLBACK- 작업중 문제가 발생했을 때, 트랜젝션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변경사항을 취소하고 트랜젝션 과정을 종료시킨다.- 이전 COMMIT한 곳까지 복구한다. SHOW AUTOCOMMIT 쿼리문 실행 즉시 COMMIT하는 옵션이 ON | OFF인지 보여주는 쿼리문 AUTOCOMMIT을 설정하는 쿼리문 testtable2를 제거하고 rollback하는 쿼리문이다.autocommit이 of..

Old/Oracle 2018.10.26

07_SELECT(AS, AND, OR, BTWEEN AND, IN, ISNULL, LIKE, ORDER BY, GROP BY, HAVING)

SELECT - 특정 데이터를 조회한다. 1. 특정 컬럼 조회 SELECT [컬럼명] FROM [테이블명]; *는 전체를 의미, testtable의 전체 컬럼을 보여준다. * 산술표현(AS) AS를 이용해서 검색한 컬럼명을 다르게 보이게 할 수 있다. 핸드폰과 같이 AS는 생략 가능하다.(실제 데이터가 변한것 아님.) 2.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 검색 SELECT [컬럼명] FROM [테이블명] WHERE [조건]; testtable에서 age = 16 인 데이터를 검색하는 쿼리문 3. AND조건 WHERE [조건1] AND [조건2] 조건1과 조건2를 둘다 만족시키는 데이터를 검색한다. 4. OR조건 WHERE [조건1] OR [조건2]; 조건1 또는 조건2 중 둘 중 하나라도 만족하는 데이터를 ..

Old/Oracle 2018.10.23

06_데이터(INSERT, UPDATE, DELETE, MERGE)

1. 데이터 추가(INSERT) INSERT INTO [테이블명] ([컬럼,...]) VALUES ([넣을값,...]); 위 두 개의 쿼리문의 차이는 컬럼을 표기했는지 표기하지 않았는지 차이이다. 만약 모든 자료를 다 삽입할 경우에는 컬럼표시는 생략이 가능하며 특정 컬럼에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. INSERT INTO testtable (username) VALUES ('황예시'); 를 입력하면 username에만 데이터가 삽입되고 다른 컬럼의 값은 NULL이 된다. 2. 데이터 수정(UPDATE) UPDATE [테이블명] SET [컬럼명] = [값] WHERE [조건]; 조건을 입력하지 않으면 모든 컬럼값이 변하게 된다. 따라서 특정 데이터만 바꾸고 싶다면 조건을 붙여서 사용해야한다. 이름이 김예시 ..

Old/Oracle 2018.10.23

05_테이블(CREATE, ALTER, DROP)

테이블-DB에서 테이블은 여러 데이터의 집합체이다(JAVA에서의 Class와 같다고 볼 수 있다.) 1. 테이블의 생성 CREATE TABLE [테이블명]([컬럼명] [데이터타입](크기),...[컬럼명] [데이터타입](크기)); Table의 이름은 testtable이고 컬럼은 username, age, mobile, reg_date가 있으며 각 컬럼의 데이터 타입과 크기는 NVARCHAR2(50), NUMBER(3,0), VARCHAR2(11), DATE SYSDATE(현재 시간)이다 2. 테이블의 삭제 DROP TABLE [테이블명]; DROP을 이용해서 테이블을 삭제 할 수 있다. 3. 테이블의 수정 1.) 컬럼이름 변경-기존데이터가 존재하는 컬럼의 이름을 바꾸면 기존 데이터가 삭제된다. ALTER ..

Old/Oracle 2018.10.23

04_데이터 타입.

오라클에서의 데이터 타입을 알아보자 1.문자형 데이터 타입 CHAR(n) : 고정길이 데이터 타입(최대 2000byte)- 지정된 길이보다 짧은 데이터 입력시 나머지는 공백으로 채워짐 VARCHAR2(n) : 가변 길이 데이터 타입(최대 4000byte) - 지정된 길이보다 짧은 데이터 입력시 나머지 공간은 비워둠.*n은 byte의 크기 NCHAR(n) : 고정 길이 유니코드 데이터 타입(최대 2000byte) NVARCHAR2(n) : 가변 길이 유니코드 데이터 타입(최대 4000byte)*n은 글자수(한 글자를 3byte로 계산, 영어-1byte,한글-2byte,한자-3byte) 2.숫자형 데이터 타입 NUMBER(전체자릿수, 소수점 자릿수) 3. 날짜형 데이터 타입 DATE : (YYYY-MM-DD..

Old/Oracle 2018.10.23

07_width

width는 길이를 조절하는 속성이다. 여기서는 min-width와 max-width에 대해서 알아보자 min-width : 최소 길이를 설정하는 속성(설정 길이보다 짧아지지 않는다.) max-width : 최대 길이를 설정하는 속성(설정 길이보다 길어지지 않는다.) 요소의 넓이 조정 div{ border: 3px solid skyblue; text-align: center; margin-top: 5px; } .ex1{ min-width: 500px; } .ex2{ max-width: 500px; } min-width: 500px max-width: 500px 500px 이상 늘어나지 않는 max-width를 볼수 있다. 500px 이하로 줄어들지 않는 min-width를 볼 수 있다.

Old/CSS 2018.10.19